여러분의 연금은 안녕하신가요? 최근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 평균수명이 80세라고 합니다. 50대 초중반에 퇴직하는 현실을 돌이켜보면 돈을 벌 수 있는 시간보다 돈을 지출해야 하는 시간이 훨씬 더 길어졌다는 이야기죠. 국민연금이 있으니 괜찮다구요??
Table of Contents
공무원연금 VS 국민연금
수차례 공무원연금 개혁으로 예전만 못하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 연금은 국민연금에 비해 수령금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2019년 자료에 의하면 국민연금 평균수령액은 53만원인데 비해 공무원연금 평균수령액은 248만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2016년 인사혁신처에서 공무원 연금혁신으로 앞으로 공무원 연금은 134~157만원 수준이 될 거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무원연금도 이제 국민연금이랑 큰 차이 나지 않는 구나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요.
하지만 사실은 다릅니다. 2020년 국정감사에서 다시 분석해 본 자료에 의하면 30년동안 동일소득으로 재직시 공무원연금 예상수령액은 267만원인 반면에, 국민연금의 예상수령액은 113만원으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가정조건 : 재직기간 30년 동안 평균급여 503만원 동일 기준
- 공무원연금 예상수령액 : 267만원/월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 113만원/월
재직기간 과 평균급여가 동일하지만 매월 공무원연금이 국민연금보다 154만원 더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약 2.36배에 달하는 금액 차이이지만 정년보장이 되지 않는 사기업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실제 수령액은 더 큰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큰차이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정답은 국민연금 소득상한액과 납입비율에 있었습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소득상한액이 있어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보험료 납입금액의 상한치 한계값이 존재하는 반면 공무원의 경우 상한액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국민연금은 본인이 4.5%, 회사에서 9%를 납부하지만, 공무원의 경우 본인이 9% 국가에서 9%를 납부해서 납입금액이 최소 두배 가량 차이가 납니다.
결국은 공무원이 훨씬 많은 돈을 오랫동안 납입을 하기 때문에 연금수령액이 높은 것입니다.
그렇다고 늦깍이 공무원이 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늦은 나이에 잘 다니는 회사를 때려치고 노량진으로 갈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직장인이 공무원만큼 아니 공무원보다 연금을 더 많이 받는 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래 2가지 단계만 실행할 수 있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STEP1. 투자 가능한 현금흐름 만들기
가장 먼저 실행해야 하는 것은 여러분이 받는 한달 월급의 10%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의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입니다.
생활비를 아껴서 현금흐름을 만들어도 좋고 , 퇴근 후 아르바이트나 부업을 하셔도 좋습니다. 중요한 건 무슨일이 있어도 운영이 가능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절약 보다는 추가 부업이나 사업을 통해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이 생활적인 측면이나 자기계발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STEP2. 복리수익을 가져다주는 상품에 투자하기
앞서 30년 재직기간 월평균소득 503만원으로 가정시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차이가 월 154만원 발생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럼 월평균소득의 10%인 50만원을 매달 복리수익을 가져다주는 상품에 30년동안 투자하면 어떻게 될까요 ?
투자기준 | 복리수익(만원) | |||||
---|---|---|---|---|---|---|
투자년수 | 투자원금 | 누적원금 | 3% | 5% | 7% | 10% |
1 | 600 | 600 | 618 | 630 | 642 | 642 |
2 | 600 | 1200 | 1,255 | 1,292 | 1,329 | 1,366 |
3 | 600 | 1800 | 1,910 | 1,986 | 2,064 | 2,163 |
4 | 600 | 2400 | 2,585 | 2,715 | 2,850 | 3,039 |
5 | 600 | 3000 | 3,281 | 3,481 | 3,692 | 4,003 |
6 | 600 | 3600 | 3,997 | 4,285 | 4,592 | 5,063 |
7 | 600 | 4200 | 4,735 | 5,129 | 5,556 | 6,230 |
8 | 600 | 4800 | 5,495 | 6,016 | 6,587 | 7,513 |
9 | 600 | 5400 | 6,278 | 6,947 | 7,690 | 8,924 |
10 | 600 | 6000 | 7,085 | 7,924 | 8,870 | 10,476 |
11 | 600 | 6600 | 7,915 | 8,950 | 10,133 | 12,184 |
12 | 600 | 7200 | 8,771 | 10,028 | 11,484 | 14,062 |
13 | 600 | 7800 | 9,652 | 11,159 | 12,930 | 16,128 |
14 | 600 | 8400 | 10,559 | 12,347 | 14,477 | 18,401 |
15 | 600 | 9000 | 11,494 | 13,594 | 16,133 | 20,901 |
16 | 600 | 9600 | 12,457 | 14,904 | 17,904 | 23,652 |
17 | 600 | 10200 | 13,449 | 16,279 | 19,799 | 26,677 |
18 | 600 | 10800 | 14,470 | 17,723 | 21,827 | 30,004 |
19 | 600 | 11400 | 15,522 | 19,240 | 23,997 | 33,665 |
20 | 600 | 12000 | 16,606 | 20,832 | 26,319 | 37,691 |
21 | 600 | 12600 | 17,722 | 22,503 | 28,803 | 42,121 |
22 | 600 | 13200 | 18,872 | 24,258 | 31,462 | 46,993 |
23 | 600 | 13800 | 20,056 | 26,101 | 34,306 | 52,352 |
24 | 600 | 14400 | 21,276 | 28,036 | 37,349 | 58,247 |
25 | 600 | 15000 | 22,532 | 30,068 | 40,606 | 64,732 |
26 | 600 | 15600 | 23,826 | 32,201 | 44,090 | 71,865 |
27 | 600 | 16200 | 25,159 | 34,442 | 47,819 | 79,711 |
28 | 600 | 16800 | 26,531 | 36,794 | 51,808 | 88,343 |
29 | 600 | 17400 | 27,945 | 39,263 | 56,076 | 97,837 |
30 | 600 | 18000 | 29,402 | 41,856 | 60,644 | 108,281 |
투자이익(년) | – | – | 882 | 1,255 | 1,819 | 3,248 |
투자이익(월) | – | – | 73 | 104 | 151 | 270 |
매년 600만원을 적립식으로 투자시 원금은 1.8억입니다. 이를 연복리 투자이익률에 따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복리 3% : 투자원금 2.9억 , 연수익 882만원 , 월환산 73만원
- 복리 5% : 투자원금 4.1억 , 연수익 1,255만원, 월환산 104만원
- 복리 7% : 투자원금 6.9억, 연수익 1,819만원, 월환산 151만원
- 복리 10% : 투자원금 10.8억, 연수익 3,248만원, 월환산 270만원
보시다시피 연복리 7% 이상의 수익률을 주는 상품에 투자하면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의 차이금액인 월 150만원을 채울 수 있습니다. 만약 복리 10% 운영수익이 보장되는 상품에 투자한다면 투자원금 11억에, 월환산 수익금으로 270만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라면 이렇게 하겠습니다.
그럼 어떤 상품에 투자해야 이런 수익률을 볼 수 있을까요 ? 목표로 하는 수익률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투자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률 | 3% | 5% | 7% | 10% 이상 |
---|---|---|---|---|
상품 | 고금리 예금 | 부동산 투자 | ETF 적립식투자 | 주식투자(퀀트) |
노후에 공무원연금 보다 더 많은 현금수입을 얻기 위해서는 목표 수익률이 최소 7% 이상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최종 선택지는 두가지로 좁혀집니다.
나는 공부하기도 싫고 그냥 맘편한 투자가 최고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ETF 투자 혹은 자산배분 투자방식를 추천드립니다. 반면 나는 적어도 10% 이상의 투자 수익률을 보고 싶다고 하시는 분들은 미국 고배당주 투자 혹은 퀀트투자를 추천드립니다.
미국 고배당주 투자 혹은 퀀트 투자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아래 링크된 사이트로 이동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시 정리해서 요약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으로 퇴직연금 수령까지 30년이상의 기간이 남았다면 저라면 이렇게 하겠습니다.
- 월급은 생활비와 주거비(주담보대출상환)를 위해 사용한다
- 부업이나 온라인사업을 시작해서 최소 50만원 이상의 현금흐름을 만든다.
- 확보한 추가 현금흐름을 7% 이상의 투자상품에 장기 투자한다.
- 이작업을 계속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