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에 초대받아 가게 되었는데 막상 축의금 봉투 쓰는법을 몰라 당황한 적 있으시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의금 봉투 쓰는법 및 적정 액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글을 참고해주세요.
Table of Contents
축의금 봉투 쓰는법 : 축의문구
우선 축의금 봉투를 쓰기 전에 앞서 어떤 문구를 넣을 것인지 선택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축의문구는 아래 8가지입니다.
- 축 결혼(祝 結婚) : 결혼을 축하합니다.
- 축 화혼(祝 華婚) : 빛나는 결혼을 축하합니다.
- 축 성혼(祝 盛婚) : 성스러운 결혼을 축하드립니다.
- 축 성전(祝 盛典) : 성스러운 결혼의식을 축하드립니다.
- 축 혼인(祝 婚姻) : 혼인을 축하합니다.
- 축의(祝儀) : 진심을 다해 축하하는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 하의(賀儀) : 예를 갖추어 축하드립니다.
- 경축(慶祝) :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드립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축의 문구는 祝 結婚(축 결혼), 祝 華婚(축 화혼), 祝 盛婚(축 성혼), 祝 盛典( 축 성전) 입니다.
해당 축의문구는 신랑신부 구분없이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문구를 사용할 지 고민이시라면 가장 무난한 이 문구들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면 해당 축의문그를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 앞면
축의문구를 결정하였다면 이제는 축의봉투 앞면에 해당 문구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축의봉투는 세로형이기 때문에 축의문구 역시 봉투의 정중앙에 세로쓰기 형태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어려운 한자보다 한글을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만약 한자가 어색하다면 아래와 같은 한글 문구로 작성하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사실 글씨를 못쓰시는 분들이라면 한자가 오히려 낳습니다.
- 혼인을 축하합니다.
- 혼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 뒷면
축의금 봉투 뒷면에는 본인의 이름과 소속단체를 작성하여 주시면 됩니다. 간혹 보면 습관적으로 봉투의 오른쪽에 본인의 이름과 소속단체명을 작성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사실 정확한 위치는 위에 첨부된 이미지와 같이 왼쪽 하단에 작성하시는 게 맞습니다.
축의금 얼마나 내야할까?
청첩장을 받으면 의례 고민되는 것들이 있죠? 갈까 말까 부터, 사진을 찍어야 하나, 옷은 뭐 입고 가지 등등 많은 생각들이 드는데 , 그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가장 고민되시는 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하나 일텐데요.
예전에는 안친하면 3만원, 친하면 5만원, 절친한 친구이면 10만원 등으로 어느정도 변하지 않는 사회적 기준이 있었는데, 요즘에는 물가도 많이 오르고 결혼식도 호텔에서 하다보니 축의금 액수로 뒷풀이에서 여러 말들이 많이 오가고 결국엔 친구들끼리 감정이 상하는 일까지 발생한다고 합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최근 시대상을 반영한 결혼식 축의금 금액을 처한 상황별에 맞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금액이 고민이신분들이라면 한번쯤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 : 같이 보면 좋은 글
- 자발적 퇴사자도 수령가능 : 실업급여 신천방법
- 직장인이 공무원 보다 연금 더 받는 방법
- 무직자, 주부도 가능한 정부지원 서민금융 대출
- 전기요금 최소 10% 할인받는 꿀팁 : 한전 에너지 캐시백
- 현실적인 추천 재택부업 3가지 : 월 100만원 더벌기
- 국비로 요양보호사 자격증 무료로 취득하기